반응형

전체 글 49

성공지능은 잘못된 정의이다.

지능이라는 개념은 음악지능, 운동지능, 수학지능 등등처럼 보통 분야 뒤에 붙는다.분야 뒤에 붙어서, "해당 분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구현하는지"를 나타낸다.하지만 성공이라는 것은 분야가 아니라 결과이기 때문에, 분야라는 개념이 붙으면 안 된다.성공지능을 설명하려면 "성공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구현하는가" 이렇게 되어야 하는데, 말 자체가 이상하지 않은가? 성공의 요소를 따지면, 해당 분야에서 능력과 비리이다.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, 비리가 있으면 성공 할 수가 없다.시험에서 1등이지만 아빠 찬스한테 밀렸다면, 비리 때문에 능력이 밀린 것이다.능력이 뛰어나지만 아파서 시험을 못 치거나, 늦잠을 자서 시험을 못 쳐서 떨어지는 것 같은 운도 있다.하지만 운은 너무 범위가 넓기 때문에, 성공요소에서 빼었다. ..

개념 2025.04.03

의회의 중요성

민주주의 권력은 행정부, 사법부, 입법부 이렇게 삼권분립으로 구성된다.행정부는 기득권이 되며, 사법부는 기득권의 편이 될 가능성이 높다.그나마 입법부는 기득권을 막을 수가 있다.그러므로 기득권의 독주를 막기 위해서, 입법부인 의회가 매우 중요하다. 권력 기관기득권설명행정부권력 기득권집행 권력을 가지고 있음.사법부기득권 편판결 권력을 가지고 있고, 기득권 편 판결을 할 가능성이 높다.입법부여당: 권력 기득권야당: 권력 비기득권입법 권력을 가지고 있음.야당이 기득권의 독주를 막을 수 있다. 뉴라이트가 주장하는 의원내각제가 된다면, 의회도 기득권이 장악하게 된다.그렇게 되면, 기득권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게 되고, 모든 권력은 자동으로 부패할 것이다.이유는 기득권이 야당의 눈치 때문에 마음대로 해먹지 못해서, ..

정치 2025.03.26
반응형